|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ecr.api
- node exporter
- docker
- 숙련기술원
- ssh
- Event Bridge
- docker #dockerfile #도커 #도커파일
- docker #도커 #기본명령어
- NodeLocalDNS
- VPC
- EC2
- 백준
- 4575
- prometheus
- AWS
- 후기
- kubernetes
- ecr.dkr
- dataroot
- 알고리즘
- kubernetes #k8s #구성요소 #작동원리 #핵심요소
- 합격전략
- kubernetes #k8s #기본 #명령어
- k8s
- Metric
- Git Actions
- 11531
- imds
- ECR
- Hop Limit
- Today
- Total
목록Cloud/Kubernetes (4)
ISFJ 개발자의 이야기
NodeLocal DNSCache는 클러스터 노드에서 DaemonSet으로 DNS 캐싱 에이전트를 실행하여 클러스터 DNS 성능을 향상시킨다. Install NodeLocalDNSwget https://github.com/kubernetes/kubernetes/raw/master/cluster/addons/dns/nodelocaldns/nodelocaldns.yamlkubedns=`kubectl get svc kube-dns -n kube-system -o jsonpath={.spec.clusterIP}`domain='cluster.local' ## default 값localdns='169.254.20.10' ## default 값sed -i "s/__PILLAR__LOCAL__DNS__/$l..
이번 블로그에서는 Istio에 Keycloak 인증을 연동하는 글을 작성해보려합니다.아키텍처는 아래와 같이 구성됩니다.Istio & Keycloak 인증 연동 아키텍처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순서를 따라야합니다. 1. EKS Cluster 구성 및 Keycloak 구성2. Keyclaok 콘솔에서 환경 설정3. Keyclaok 인증 Deployment 설정 EKS Cluster 구성 및 Keycloak 구성EKS Cluster와 ACM이 생성되어있다는 전제로 진행합니다.우선 Keycloak 구성을 위해 필요한 환경변수를 설정해줘야합니다.EKS_CLUSTER_NAME="" # Change Your EKS Cluster NameACCOUNT_ID=$(aws sts get-caller-identity --..
이번엔 DevOps, Cloud 영역에서 가장 중요하고 또 없어서는 안될 kubernetes (k8s)의 기본 명령어를 알아보겠습니다.실습은 minikube를 기준으로 했으며, minikube를 기준으로 명령어를 작성하였습니다.minikube 기본 명령어 minikube 실행 minikube start minikube 상태 확인minikube status minikube 중지minikube stop minikube 삭제minikube delete minikube 대시보드minikube dashboard kubectl 기본 명령어node 확인kubectl get nodes namespace 확인kubectl get namespace pod 확인kubectl get pod 모든 namespace의 pod ..
이번엔 쿠버네티스(k8s)의 구성요소와 작동원리를 정리하는 블로그를 작성 해보려 합니다.여기서 쿠버네티스란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배포, 스케일링 및 관리해주는 오픈소스 플랫폼입니다. 쿠버네티스의 구성 요소 및 작동 원리마스터 노드(Master Node)클러스터의 제어와 관리를 담당하는 중앙 노드이다. 마스터 노드는 쿠버네티스 API 서버, 컨트롤러 매니저, 스케줄러, etcd 등으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명령을 받아 처리하고, 클러스터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필요에 따라 변경 작업을 수행합니다. 워커 노드(Worker Node)실제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노드입니다. 각 워커 노드는 컨테이너 런타임(예: Docker)와 Kubelet이라는 에이전트를 포함하고 있으며. Kube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