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AWS
EC2는 사실 VPC Subnet에 있는게 아니다.
ISFJ 개발자의 이야기
2025. 6. 1. 22:14
EC2는 사실 서브넷 안에 있는게 아니다. 오늘은 이게 무슨 의미인지 작성해보려 합니다.
ENI 기본 개념
- ENI는 EC2 인스턴스가 생성될 때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 ENI는 일종의 EC2의 가상의 랜카드(LAN Card) 와 비슷한 개념입니다.
- ENI를 통해 EC2와 Subnet을 연결합니다.
ENI 특성
- ENI는 IP주소와 MAC주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 ENI 하나당 1개 이상의 Private IP 주소 부여가 가능합니다.
- (optional) Public IP 주소 부여가 가능합니다.
- EC2는 반드시 하나 이상의 ENI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 EC2 생성하면 Primary ENI가 생성되어 연결됩니다.
- EC2는 1개 이상의 ENI를 보유가능합니다.
- 실질적으로 ENI가 EC2의 서브넷의 위치와 보안그룹의 연결을 담당합니다.
- 처음에 배울 때 서브넷 안에 EC2를 둔다고 우리가 이미지해서 배우지만, 사실은 서브넷안에 EC2를 두는 것이 아니라 밑에 이미지와 같이 서브넷 안에 ENI를 두고 EC2와 연결시킵니다. (EC2는 단지 같은 Availibility Zone 안에 있습니다.)
참고
https://jibinary.tistory.com/133
https://docs.aws.amazon.com/ko_kr/AWSEC2/latest/UserGuide/using-eni.html
https://velog.io/@jungmyeong96/AWS-SAA-Elastic-Network-InterfacesENI